정보/AI

Ai별 성격 실험 테스트 <생성형 ai별 차이점은?>

jeonjoy 2025. 2. 26. 08:34

요즘 ai가 난리다. 21세기를 살아가고 ai 수혜를 온몸으로 쳐맞는 수혜자로서 이쯤되니 나도 블로그로 ai관련글을 좀 더 써봐야겠단 생각이 든다
그래서 요즘 잘 쓰고있는 각 ai별로 같은 질문을 해보려고 한다
내가 요즘 빠져사는 주식관련 질문을 먼저 해보기로 했다. 던질 질문은 이것이다.

요즘 잘나가는 상위 ETF가 뭐야? 그중에 어떤걸 추천해? 연령별로 포트폴리오를 짜줘.

요즘 잘나가는 상위 ETF가 뭐야? 그중에 어떤걸 추천해? 연령별로 포트폴리오를 짜줘.
라고 구글 제미니(제미나이)와 챗GPT, 클로드에게 각각 물어보았다.



먼저 1. 제미니의 답변


최근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인기 ETF(상장지수펀드)와 연령별 추천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인기 ETF 트렌드
최근 ETF 시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트렌드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 커버드콜 ETF: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미국 배당 ETF: 꾸준한 배당과 함께 장기적인 성장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습니다.
* AI(인공지능) 테마 ETF: AI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미국 빅테크 ETF: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미국 빅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ETF도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글로벌 초우량 기업 ETF: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경쟁력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는 ETF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령별 추천 ETF 포트폴리오
연령별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능력에 따라 다음과 같은 ETF 포트폴리오를 구성해볼 수 있습니다.
* 20대:
   * 성장 가능성이 높은 AI, 빅테크 테마 ETF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고, 위험 감수 능력을 높여 적극적인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추천 ETF: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KODEX 미국서학개미 등
* 30~40대:
   * 성장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관리합니다.
   * 국내외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ETF를 포트폴리오에 포함합니다.
   * 추천 ETF: TIGER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H) 등
* 50대 이상:
   * 안정적인 수익과 자산 보존에 초점을 맞추고, 위험 감수 능력을 낮춥니다.
   * 배당 ETF, 채권 ETF 등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ETF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 추천 ETF: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 KBSTAR 중장기국공채 등
ETF 투자 시 유의사항
* ETF 투자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으므로, 투자 전에 충분히 공부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자신의 투자 목표, 위험 감수 능력,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ETF를 선택해야 합니다.
*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관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ETF의 보수, 추적오차, 거래량 등 다양한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참고
* ETF 투자 관련 정보는 금융투자협회, 한국거래소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ETF투자의 경우 투자종목들에 대한 정보를 잘알고 투자해야 합니다.



특징
정확히 뭐가 좋다는 지는 잘 안알려준다.
고기잡는 법을 잘 알려주고
무슨 고기가 맛있는지는 대충 알려주는 느낌
거시적인 시점에서 큰 카테고리를 잘 설명한다.



2. 챗GPT의 답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상위 ETF와 연령별 포트폴리오 추천에 대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최근 인기 있는 상위 ETF

SPDR S&P 500 ETF Trust (SPY):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미국 대형주에 대한 광범위한 노출을 제공합니다.
Invesco QQQ Trust (QQQ):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며, 주로 기술주에 집중 투자하는 ETF입니다.
Vanguard Total Stock Market ETF (VTI): 미국 전체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ETF로, 대형주부터 소형주까지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습니다.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안정적인 배당을 제공하는 미국 우량주에 투자하는 ETF로, 배당 수익과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iShares Russell 2000 ETF (IWM): 미국 소형주 지수인 러셀 2000을 추종하여, 중소형주에 투자하고자 하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연령별 포트폴리오 추천

연령대에 따라 투자 성향과 목표가 다르므로, 아래와 같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1. 20~30대: 성장 중심 포트폴리오

이 시기는 장기적인 투자 기간을 활용하여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자산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구성 제안:
S&P 500 ETF (예: SPY) - 50%
나스닥 100 ETF (예: QQQ) - 30%
소형주 ETF (예: IWM) - 20%
2. 40~50대: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안정성과 성장의 균형을 추구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구성 제안:
S&P 500 ETF (예: SPY) - 40%
배당주 ETF (예: SCHD) - 30%
나스닥 100 ETF (예: QQQ) - 20%
채권 ETF - 10%
3. 60대 이상: 안정성 및 현금 흐름 확보 포트폴리오

은퇴를 앞두거나 이미 은퇴한 시기로, 자산의 보존과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중요합니다.

구성 제안:
배당주 ETF (예: SCHD) - 40%
채권 ETF - 40%
S&P 500 ETF (예: SPY) - 20%
투자 결정은 개인의 재무 상황, 투자 목표 및 위험 감수 능력에 따라 다르므로, 투자 전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특징
드디어 고기를 알려준다. 챗지피티는 가려운 부분을 좀 더 속시원하게 긁어주는 느낌
최근 etf 사모으기에 관심을 가지는 나로서는 챗gpt의 답변이 더 직관적이고 마음에 든다



3. 클로드의 답변


안녕하세요! ETF 투자에 관심이 있으신 것 같네요. 제 지식 기준(2024년 10월)으로 잘 나가는 ETF들과 연령별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최근 인기 있는 상위 ETF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기술 섹터: QQQ(나스닥 100 추종), XLK(기술 섹터), ARKK(혁신 기술)
광범위 지수: SPY, VOO(S&P 500 추종), VTI(미국 전체 시장)
배당: SCHD(배당 성장), VYM(고배당)
국제: VXUS(미국 외 선진국), VWO(신흥 시장)
테마: SOXX(반도체), ICLN(청정 에너지), FINX(핀테크)

연령별 포트폴리오 구성 제안:
20-30대 (장기 성장 중심)

80-90% 주식형 ETF (VTI, QQQ, VGT 등)
10-20% 국제 ETF (VXUS, VWO)
소량의 테마 ETF (SOXX, ARKK, FINX 등) 고려 가능
채권 비중 최소화 (0-10% BND)

40-50대 (성장과 안정 균형)

60-70% 주식형 ETF (VTI, VOO, SCHD)
20-30% 채권형 ETF (BND, VCIT)
10% 국제 ETF (VXUS)
소량의 배당 ETF (SCHD, VYM) 고려

60대 이상 (소득 및 자본 보존)

40-50% 주식형 ETF (VYM, SCHD 등 배당 중심)
40-50% 채권형 ETF (BND, VCSH)
5-10% 국제 ETF
소량의 안정 자산 (금, 인플레이션 보호 채권 등)

투자는 개인의 위험 감수 성향, 투자 목적,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특정 ETF 투자 전에 개인 재무 상담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더 구체적인 조언이 필요하시거나 특정 세부 사항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신가요?



특징
클로드는 좀 더 로봇같은 느낌이 드는데, 집에 로봇청소기가 말을 한다면 이런 느낌일 것 같다. 그렇다고 똑똑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티커가 실구매가 높은 걸 설명하는 것을 보니 제미니와 챗gpt의 딱 중간 느낌이다. 그래도 정확히 어떤게 좋다는 고기중심 답변을 기대하긴 힘든 것 같다.


 

총정리


세 ai 모두 답변의 방향은 동일하지만, 집중하는 영역이 다르다.
주식 시점에 있어서는 챗gpt를 더 많이 활용할 것 같긴 하다.

반응형

'정보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ok 3 <일론 머스크가 만든 AI> 사용 방법은?  (0) 2025.02.26